渭 川 漁 釣 圖 위천조어도를 보며 金 時 習
風 雨 蕭 蕭 拂 釣 磯
渭 川 魚 鳥 識 忘 機
如 何 老 作 鷹 揚 將
空 使 夷 齊 餓 採 薇
蕭蕭: 비바람 소리. 拂: 떨칠 불. 釣磯: 낚시터. 渭 川: 강태공이 낚시하던 渭水.
機: 기미(機微) 기, 낌새. 鷹 揚: 매가 날라 오르듯 무용(武勇)을 떨침. 空使: 헛된 일을 시키다.
夷齊: 伯夷와 叔齊. 餓: 굶을 아. 餓 採 薇: 고사리를 캐먹고 굶다.
비바람이 소소히 낚시터에 불어
위수의 물고기들이 기미를 잃었네.
어찌 늙은이가 무용을 떨치는 장군이 되어
백이 숙제를 무리하게 명하여
고사리를 캐먹고 굶어 죽게 하는 고.
金 時 習: 1435년(세종17년)~ 1493년(성종24년)
본관: 江陵. 자: 열 경(悦 卿). 호: 梅月堂, 東峰, 碧山淸隠, 췌세옹(贅世翁)
김시습은 3 세에 글을 지어 신동이라 불리었다.
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할 때 크게 충격을 받아 실의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중(僧)이 되어
山水間에 방랑하며 절의를 지킴. 生六臣의 한 사람. 조선초기의 문인 (소설가).
1782년 이조판서로 추 증.
姜 太 公: 周 나라 초기의 정치가이자 공신. 본명: 姜尙. 별칭: 姜太公, 呂 尙. 주요 저서: 육도(六韜).
東海에 사는 가난한 사람으로 집안을 돌보지 않아 아내는 집을 나갔음.
渭 川에서 서 창백(주 나라 文 王)을 만나 周 나라의 재상이 되었고, 문 왕이 죽자 아들 武 王의 軍師
(策 士)가 되어 은나라 주 왕(紂 王)을 멸망시키고, 그 공로로 제(齊)나라 제후에 봉해져, 齊의 시조가 됨.
해설: 위 천에서 낚시하는 그림을 보고
때를 기다리며 낚시질하던 강태공이 문 왕에 등용되고, 무 왕을 도와 용맹을 떨치게 되었으나, 그 반면
“ 先王 死亡 후 아직 장사도 치르지 않았는데 전쟁을 할 수 없다. 그것을 孝가 아니기 때문이다. 周 나라는 商 나라의 신하 국이다. 어찌 신하가 임금을 주살하려는 것을 仁이라 할 수 있겠는가?”
라고 전쟁에 반대하던 伯夷 叔齊를 칼을 빼어 참살함은 모면케 하였으나
首陽山에 보내 굶어 죽게 하였으니 어찌하겠는가?
단종을 몰아내고 세조가 왕위에 오른 것을 옳지 않다 함과 다르지 안찬 는 가?
댓글